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기출 50문제 - 02

by vitaminsea 2025. 3. 27.
728x90
반응형

전산응용 건축제도 기능사 기출문제 답외우기

독학으로 60문제 중 37문제 맞아 합격하기

 

  1. 주거단지 단위 중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단위는? 근린주구 (1600~200세대)
  2. 목재 방부제 중 방부력이 우수하고 염가이나 도포 부분이 갈색이고 냄새가 강하여 실내에서 사용 할 수 없는 것은? 크로오소트
  3. 먼셀표색계에서 5R 4/14로 표시된 색의 명도는? 4
  4. 조적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몇 ㎡ 이하로 해야 하는가? 80 ㎡
  5. 건축재료의 최대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값은? 허용강도
  6. 시멘트를 구성하는 3대 주성분이 아닌 것은? 염화칼슘
  7. 건물의 주요 뼈대를 공장제작한 후 현장에 운반하여 짜맞춘 구조는? 조립식 구조
  8. 조립식구조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각 부품과의 접합부를 일체화하기 쉽다.
  9.  강재 표시방법 2L-125x125x6에서 '6'이 나타내는 것은? 두께
  10. 점토제품에서 SK의 번호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소성온도를 나타낸다.
  11. 철골구조에서 사용되는 접합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듀벨접합
  12. 목구조에서 기초와 토대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앵커볼트
  13.  넓은 기계 대패로 나이테를 따라 두루마리를 펴듯이 연속적으로 벗기는 방법으로 얼마든지 넓은 베니어를 얻을 수 있고 원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제조법은? 로터리 베니어
  14. 철근의 정착길이의 결정요인과 가장 관계가 먼것은? 물시멘트 비
  15. 건축도면에서 보이지 않는부분의 표시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는? 파선(=점선)
  16. 수직재가 수직하중을 받는 과정의 임계상태에서 기하학적으로 갑자기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좌굴
  17.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하중을 지속적으로 작용시켜 놓을 경우 하중의 증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속하중에 의해 시간과 더불어 변형이 증대하는 현상은? 크리프
  18. 아치쌓기법에서 아치 너비가 클 때 아치를 여러 겹으로 둘러 쌓아 만든 것은? 층두리 아치
  19.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판의 연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것은? 셀구조
  20. 송풍에 의한 내압으로 외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을 주고 압력에 의한 장력으로 공간 및 구조저직 안정성을 추구한 건축구조는? 공기막 구조
  21. 보를 없애고 바닥판을 두껍게 해서 보의 역할을 겸하도록 한 구조로서 하중을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슬래브는? 플랫슬래브
  22. 20kg의 골재가 5㎜체에 몇 ㎏이상 통과해야 잔골재라 할수 있는가? 17㎏ (잔골재 85% - 20x0.85=17)
  23. 트렌쳐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인접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화재의 연소를 방재하는 설비이다.
  24. 일반적으로 창유리의 강도가 의미하는 것은? 휨강도
  25. 건축 도면 표시 기호로 옳지 않은 것은? A:용적 (V:용적 / A:면적)
  26. 보강콘크리트 블록조 단층에서 내력벽의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5㎝/㎡
  27. 절판구조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철근배근이 용이하다.
  28. 외관이 중요시되지 않는 아치는 보통벽돌을 쓰고 줄눈을 쐐기모양으로 하는 아치는? 거친아치
  29. 목재의 기건상태의 함수율은 평균 얼마 정도인가? 15% (기건:공기중에 건조시키는것)
  30. 입체구조시스템의 하나로서 축방향으로만 힘을 받는 직선재를 핀으로 결합하여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구조시스템은 무엇인가? 입체트러스구조 
  31. 구조형식 중 삼각형 뼈대를 하나의 기본형으로 조립하여 각 부재에는 축방향력만 생기도락 한 구조는? 트러스 구조
  32. 조적조 벽체 내쌓기의 내미는 최대한도는? 2.0B
  33. 배수트랩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버킷트랩 (증기트랩)
  34. 지반 부동침하의 원인이 아닌 것은? 연속기초
  35. 입면도 작성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은? 대지선 그리기 (대지선:G.L)
  36. 왕대공 지붕틀에서 평보와 왕대공의 맞춤에 사용되는 보강철물은? 감잡이쇠
  37. 급기와 배기에 모두 기계 장치를 사용한 환기 방식으로 실내 ·외의 압력차를 조정할 수 있는것은? 제1종 환기법
  38. 밝은 상태에서 어두운 상태까지 폭넓게 명암을 나타낼수 있고, 다양한 질감 표현이 가능하며 지울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번지거나 더러워지는 단점을 가진 투시도 묘사용구는? 연필
  39. 도장 공사와 비교하여 미장 공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바른것은? 미장공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칠해지는 것이다.
  40. 회반죽 바름에서 여물을 넣는 주된 이유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배합된 재료가 결속되어 균열방지)
  41. 대리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산에 강하다 
  42. 거푸집에 자갈을 넣은 다음 골재 사이에 모르타를 압입하여 콘크리트를 형성한 것은? 프리팩트 콘크리트
  43. 주택의 식당 및 부엌에서 작업 순서에 맞게 배치된 것은?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준개조가대)
  44. 석회질 원료에 발포제를 넣고 고온, 고압 상태에서 양생한 다공질 벽돌로써 자중이 경감되고 내화성, 단열성능을 가진 벽돌은? 경량벽돌
  45. 철골구조에서 축방향력, 전단력 및 모멘트에 대해 모두 저항할 수 있는 접합은? 모멘트접합(강접합)
  46.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고체 양쪽의 유에서 유체를 열이 전해지는 현상은? 열관류
  47. 케이블을 이용한 구조로만 연결된 것은? 현수구조-사장구조
  48. 세정벨브식 대변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연속사용이 가능하다.
  49. 건축재료의 발전방향이 아닌것은? 현장시공화
  50. 목조 왕대공 틀에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는? ㅅ자보

 

  • 대린벽 :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내력벽, 그 중심선간의 거리를 벽의 길이라고 한다.
  • 수장공사 : 건축물의 최종 마무리 단계. 준공 후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수 있는 인테리어 마감 공사.
  • 스티프너 : 보강재, 플레이트 거더나 박스 기둥의 플랜지나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쓰이는 판.
  • 단면력의 종류 : 축(방향)력, 전단력, 휨모멘트
  • 콘크리트의 슬럼프(반죽질기,워커빌리티,컨시스턴시) 시험 : 슬럼프시험, 플로시험, 리몰딩시험
  • 시멘트의 비중 시험 : 르샤틀리에 비중병 시
  • 황동(구리Cu+아연Zn) / 청동(구리Cu+주석Zn)
  • 탄성(본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 <-> 소성(돌아가지 않는 성질)
  • 벽돌쌓기 : 영국식(이오토막) 화란식(칠오토막) 미식쌓기(내력이 약함) 영롱쌓기(구멍내어쌓기)
  • 환기: 중력환기(자연환기,기계사용X) 제1종환기법(급기,배기 모두 기계) 제2종환기법(병원-외기를 안으로)제3종환기법(주방,화장실-가스를 밖으로 빼는것)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