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실내건축제도자격증 필기 독학 답외우기 04

by vitaminsea 2025. 4. 10.
728x90
반응형

 

 

  1. H형강, 판보 또는 래티스보 등에서 보의 단면 상하에 날개처럼 내민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는? 플랜지
  2. 래티스보 등에서 보의 단면 상하에 날개처럼 내민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는? 플랜지
  3. 철골구조에서 H자 형강 보의 플랜지 부분에 커버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휨내력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4. 개구부 설치에 가장 많은 제약을 받는 구조는? 벽돌구조
  5. 특수 지지 프레임을 두 지점에 세우고 프레임 상부 새들(Saddle)을 통해 케이블(Cable)을 걸치고 여기서 내린 로프로 도리를 매다는 구조는 무엇인가? 현수구조
  6. 바닥판의 주근을 연결하고 콘크리트의 수축, 온도변화에 의한 열응력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는데 유효한 철근을 무엇이라 하는가? 배력근
  7. 석재의 이음 시 연결철물 등을 이용하지 않고 석재만으로 된 이음은? 제혀이음
  8. Suspension Cable(현수교)에 의한 지붕구조는 케이블의 어떠한 저항력을 이용한 것인가? 인장력
  9. 석유계 아스팔트가 아닌 천연아스팔트계에 해당하는 것은? 레이크아스팔트
  10. 점성이나 침투성은 작으나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어서 동결에 대한 안정성이 크며 아스팔트 프라이머의 제작에 사용되는 것은? 블로운아스팔트
  11. 길이가 폭의 3배 이상으로 가늘고 길게 된 타일로서 징두리벽등의 장식용에 사용되는 것은? 보더 타일
  12. 반원 아치의 중앙에 들어가는 돌의 이름은? 이맛돌
  13. 조적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몇 ㎡이하로 해야 하는가? 80㎡
  14. 홈통의 구성 요소 중 처마홈통 낙수구 또는 깔대기 홈통을 받아 선홈통에 연결하는 것은? 장식홈통
  15. 건축구조의 분류 중 일체식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16. 휨모멘트나 전단력을 견디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보 단부의 단면을 중앙부의 단면보다 크게 한 부분은? 헌치
  17. 보강블록조에서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5㎝/㎡
  18. 1종 점토벽돌의 압축강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24.5N/㎟이상
  19. 블록의 중공부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보강한 것으로써 수평하중 및 수직하중을 견딜수 있는 구조는? 보강블록조
  20. 공사현장 등의 사용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만드는 콘크리트가 아니고, 주문에 의해 공장생산 또는 믹싱카로 제조하여 사용현장에 공급하는 콘크리트는? 레디믹스드 콘크리트
  21. 고강도선인 피아노선에 인장력을 가해둔 다음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경화된 후 인장력을 제커시킨 콘크리트는?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22. 목구조에서 깔도리와 처마도리를 고정시켜주는 철물은? 주걱볼트
  23.  부엌과 식당을 겸용하는 다이닝 키친(D+K)의 가장 큰장점은? 주부의 동선이 단축된다.
  24. 돌로마이트에 화강석 부스러기, 모래, 안료 등을 섞어 정벌바름하고 충분히 굳지 않을 때 표면에 거친 솔, 얼레빗 등을 사용하여 거친면으로 마무리하는 방법은? 리신바름
  25. 목재의 섬유 평행방향에 대한 강도 중 가장 약한 것은? 전단강도
  26.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은 시멘트의 무엇을 알아 보기 위한 것인가? 안정성
  27. 바닥 슬래브 하중을 1개의 기초판으로 부담시킨 기초형식은? 독립푸팅기초
  28. 바닥 슬래브 전체가  기초판 역할을 하는것은? 매트기초
  29. 보를 없애고 바닥판을 두껍게 해서 보의 역할을 겸하도록 한구조로서, 하중을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슬래브는? 플랫슬래브
  30. 횡력을 받는 벽을 지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구조물은? 버트레스
  31. 강구조의 기둥 종류 중 앵글,채널 등으로 대판을 플랜지에 직각으로 접한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격자기둥
  32. 문꼴을 보기 좋게 만드는 동시에 주위 벽의 마무리를 잘하기 위하여 둘러대는 누름대를 무엇이라 하는가? 문선
  33. 급수서러비에서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공기실
  34. 방수 공법 중 콘크리트, 벽돌, 블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ALC 블록 등으로 만든 습윤 환경 아래, 구조 벽체 바탕에 주로 적용하는 공법은? 시멘트액체방수
  35.  구조물의 고층화, 대형화의 추세에 따라 우수한 용접성과 내진성을 가진 극후판의 고강도 강재는? TMCP강
  36. 창 하부에 건너댄 돌로 빗물을 처리하고 장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윗면, 밑면에 물끊기, 물돌림 등을 두어 빗물의 침입을 막고 물흘림이 잘 되게 하는 것은? 창대돔
  37. 혼화제인 AE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용수량을 줄여 블리딩이 감소한다.
  38. 밤에 빛을 비추면 잘 볼 수 있도록 도로 표지판 등에 사용되는 도료는? 형광도료
  39. 미장 재료 중 균열 발생이 가장 적은 것은? 석고플러스터
  40.  도료의 원료 중 건조된 도막에 탄성,교착성을 부여함으로써 내구력을 증가시키는데 쓰이는 것은? 가소제
  41. 한중 또는 수중, 긴급공사를 시공할 때 가장 적합한 시멘트는? 조강시멘트
  42.  바닥마감판과 바탕 사이에 양면 등의 완충재를 넣어 판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바닥구조는? 방음바닥구조
  43. 가로 배관에 사용하여 유속을 저해하고 하수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은? U트랩
  44. 콘크리트 구조 바닥판 밑에 묻어 반자틀 등을 달아매고자 할 때 사용되는 철물은? 인서트
  45. 포틀랜드 시멘트류를 제조할 때 석고를 넣는 주된 이유는?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46. FRP는 어떤 합성수지의 성형폼인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47. 철골보의 종류에서 형강의 단면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부재의 가공 절차가 간단하고 기둥과 접합도 단순한 것은? 형강보
  48. 통기방식 중 트랩마다 통기되기 때문에 가장 안정도가 높은 방식은? 각개통기방식
  4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중 연기감지기에 해당하는 것은? 광전식
  50. 보와 기둥 대신 슬래브와 벽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하는 구조는? 벽식구조

 

  • 풍화=공기습기+수화반응
  • 보의 개수 (홑마루 0개) , (보마루 1개), (짠마루 2개) 
  • 입도 : 크고 작은 골재(모래,자갈 등) 혼합되어 있는 정도
  • 옴의법칙 : 회로의 저항이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인가된 전압의 크기와 비례하여 저항과는 반비례한다.
  • 벽돌 벽체 내쌓기 : 1켜(1/8B) , 2켜(1/4B)
  • 대지면적(건물을 지을수 있는 땅의 넓이) / 연면적(모든의 바닥면적 합계) 
  •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 비율) / 용적률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연면적 비율)
  • 고층건물 (층수 30층 이상, 높이 120M이상) / 초고층건물 (층수 50층 이상, 높이 200M이상)
  • 지하층: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층으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1/2)이상인 것.
반응형

댓글